2026 최저임금 시급 10,320원 확정! 월급·연봉·실수령액까지 완벽 정리

 

2026년 최저임금 시급이 드디어 확정됐습니다.
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월급, 연봉, 실수령액까지 한 번에 계산해보고, 내 통장에 실제로 찍히는 금액이 얼마인지 현실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.


✅ 2026년 최저임금, 얼마나 올랐을까?



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법정 최저임금은 시급 10,320원입니다.
이는 2025년(10,030원) 대비 +290원, 약 2.9% 인상된 수치로, 최근 몇 년간의 소폭 인상 추세를 감안하면 비교적 높은 수준입니다.

적용년도시급월급 (209시간 기준)인상률
202610,320원2,156,880원+2.9%
202510,030원2,096,270원+1.7%
20249,860원2,060,740원+2.5%
20239,620원2,010,580원+5.0%
20229,160원1,914,440원+5.1%

💡 TIP: 2026년은 시급이 10,000원을 넘긴 두 번째 해이며, 2023년 이후 가장 높은 인상률입니다.

최저임금위원회 홈페이지 바로가기

💵 시급 10,320원 → 월급·연봉으로 환산하면?

법정 주 40시간 기준으로 주휴수당을 포함하면, 월 근로시간은 209시간입니다.

  • 일급 (8시간 기준): 10,320원 × 8시간 = 82,560원

  • 월급 (209시간 기준): 10,320원 × 209시간 = 2,156,880원

  • 연봉 (12개월 기준): 2,156,880원 × 12개월 = 25,882,560원

📌 위 수치는 세전 기준으로, 수당이나 복리후생 없이 최저임금만 적용한 계산입니다.

최저임금위원회 홈페이지 바로가기

세후 실수령액은 얼마?

월급이 2,156,880원이라면, 4대 보험과 세금이 공제된 후 **실제 내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(실수령액)**은 줄어듭니다.

[1인 가구 기준 예상 공제액]

  • 국민연금: 약 97,000원

  • 건강보험 + 장기요양보험: 약 82,000원

  • 고용보험: 약 18,000원

  • 소득세 + 지방소득세: 약 4,000 ~ 6,000원

➡️ 예상 실수령액: 약 1,950,000원 내외

⚠️ 단, 가족 수나 4대 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실제 실수령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
🕒 시급제 근로자의 월급, 왜 매달 다를까?

시급 근로자의 경우, 근로일 수, 공휴일, 주휴수당 지급 주차 수 등에 따라 매월 급여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:

  • 4주 기준 주휴수당 포함 시: 월급 약 2,156,880원

  • 5주 기준 주휴수당 포함 시: 월급 약 2,229,120원

📌 따라서 단순히 시급 × 209시간만으로 월급을 계산하는 것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, 반드시 근로일수, 주휴수당 포함 여부를 체크해야 합니다.

최저임금위원회 홈페이지 바로가기

 최저임금은 어떻게 정해질까?

최저임금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하는 것이 아닌,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 결정됩니다:

  1. 고용노동부 장관이 3월 31일까지 심의 요청

  2. 최저임금위원회가 기초자료 분석 및 현장 의견 수렴

  3. 전문가 회의에서 생계비, 경제지표, 임금실태 등 종합 분석

  4. 전원회의에서 최저임금안 의결

  5. 8월 5일까지 최종 고시

💬 만약 노사 간 이견이 크다면, 이의제기 및 재심의도 가능합니다.

🔍 [Q&A] 자주 묻는 질문 정리 (리치 스니펫 최적화)

Q1. 2026년 최저임금 시급은 얼마인가요?

➡️ 2026년 최저임금 시급은 10,320원입니다.

Q2. 2026년 최저임금 기준 월급은 얼마인가요?

➡️ 주 40시간 기준 월 209시간 근무 시 2,156,880원입니다.

Q3. 최저임금 기준 실수령액은 얼마나 되나요?

➡️ 4대 보험 및 세금 공제 후 약 1,950,000원 내외입니다.

Q4. 시급제 근무자는 월급이 매달 다른가요?

➡️ 네. 주휴수당 지급 횟수, 공휴일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Q5. 최저임금은 누가 어떻게 정하나요?

➡️ 최저임금위원회가 노사 및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정부가 고시합니다.

계약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

2026년 최저임금이 소폭 상승했지만, 여전히 실수령 기준으로는 빠듯한 현실입니다.
특히 시급제로 근무하시는 분들은 다음 사항을 꼭 확인하세요:

  • 주휴수당 포함 여부

  • 4대 보험 가입 유무

  • 월 근로일수 및 근로계약 내용

🖊️ 근로계약서 작성 시 꼼꼼히 확인하고, 모호한 표현이 있다면 반드시 명확히 하세요.

댓글 쓰기

0 댓글

신고하기

프로필

이미지alt태그 입력